2025.11.13
2025년 11월 13일 주요 한국 뉴스 및 주식 시장 분석 보고서
1. 오늘의 주요 한국 뉴스 요약 및 관련 주식 매칭
오늘의 주요 뉴스는 정치/국방, 경제/기업, 사회 분야에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, 특히 주식 시장에는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 종료와 기업 실적 관련 뉴스가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.
| 분야 | 주요 뉴스 요약 | 관련 주식 및 섹터 | 매칭 사유 |
|---|---|---|---|
| 경제/기업 | 한국전력, 9분기 연속 흑자 및 역대 최대 분기 실적 달성 | 한국전력 (015760.KS) | 사상 최대 분기 매출 및 영업이익 달성 소식은 기업의 펀더멘털 개선을 시사합니다. |
| 경제/시장 |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종료로 투자 심리 회복 | 전반적인 증시 (코스피, 코스닥) | 글로벌 불확실성 해소로 외국인 매수세가 유입되며 국내 증시 전반의 상승을 견인했습니다. |
| 경제/시장 | 원/달러 환율, 장중 1,475원대 기록 후 1,467.7원으로 마감 | 수출주, 항공/여행주 | 환율 변동은 수출 기업의 실적과 수입 의존도가 높은 기업의 비용에 영향을 미칩니다. |
| 사회/교육 |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(수능) 실시 | 교육 관련주, 일부 소비재 | 수능 당일은 사회 전반의 활동이 잠시 멈추는 사회적 이벤트로, 일부 교육 및 관련 산업에 영향을 줍니다. |
| 정치/국방 | 역대 최대 규모의 중장급(별 3개) 장성 인사 단행 | 방위산업/국방 섹터 | 국방 정책 및 군 수뇌부 변화는 장기적으로 방위산업 관련 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 |
2. 오늘의 주식 시장 주요 상승/하락 종목 분석
2025년 11월 13일 국내 주식 시장은 미국 셧다운 종료에 따른 투자 심리 개선과 외국인의 대규모 순매수(유가증권시장 약 1조 원)에 힘입어 코스피(0.49% 상승)와 코스닥(1.31% 상승) 모두 상승 마감했습니다. 특히 코스닥 시장에서는 바이오 업종의 강세가 두드러졌습니다.
2.1. 주요 상승 종목 및 요인
| 종목명 (코드) | 시장 | 등락률 (약) | 주요 상승 요인 |
|---|---|---|---|
| 에이비엘바이오 (298380) | 코스닥 | +29.04% (상한가 근접) | 바이오 업종 강세 및 개별 호재 : 코스닥 시장에서 오랜만에 바이오 업종이 강세를 보인 가운데, 에이비엘바이오가 가격 제한폭 가까이 급등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습니다. 이는 개별적인 임상 결과 기대감이나 기술 수출 관련 긍정적 소식 등 개별 종목의 호재가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. |
| 두산에너빌리티 (034020) | 코스피 | +5.99% | 원전 및 에너지 정책 기대감 :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. 정부의 원전 정책 추진 가속화 및 에너지 관련 사업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투자 심리를 개선시킨 것으로 보입니다. |
| LG에너지솔루션 (373220) | 코스피 | +1.89% | 2차전지 섹터 반등 및 개별 수급 개선 : 대형주 중에서도 상승세를 보이며 2차전지 섹터의 반등 흐름에 동참했습니다. 외국인 순매수세 유입에 따른 수급 개선도 영향을 미쳤습니다. |
2.2. 주요 하락 종목 및 요인
| 종목명 (코드) | 시장 | 등락률 (약) | 주요 하락 요인 |
|---|---|---|---|
| SK하이닉스 (000660) | 코스피 | -0.81% | 차익 실현 및 대형 반도체주 약세 : 그동안 지수 상승을 주도했던 대형 반도체주들이 일제히 약세를 보였습니다. 최근 급등에 따른 투자자들의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된 것으로 분석됩니다. |
| 삼성전자 (005930) | 코스피 | -0.29% | 차익 실현 및 대형 반도체주 약세 : SK하이닉스와 마찬가지로 대형 반도체주로서 동반 약세를 보였습니다. 시장의 전반적인 상승세 속에서도 상대적으로 소외되며 차익 실현 매물이 우위를 점했습니다. |
| KB금융 (105560) | 코스피 | -0.89% | 금융주 혼조세 및 개별 수급 요인 : 금융주는 전반적으로 혼조세를 보였으며, KB금융은 소폭 하락 마감했습니다. 이는 기관의 순매도 등 개별적인 수급 요인과 시장의 관심이 다른 섹터로 이동한 영향으로 해석됩니다. |
참고: 상기 분석은 2025년 11월 13일 장 마감 시점의 뉴스 및 시장 상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, 투자 결정은 개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.